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 사이트라고 있습니다. 행정안전부,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를 취합하여 공급하는 서비스입니다. 개발자 분들에게는 익히 잘 알려져 있는 정보제공 서비스인데, 이것을 사업기획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 활용하기
서비스 개요
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는 서비스명에서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, 전국 17개 시도 228개 시군구 지자체에 축적된 인허가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국민들이 이를 응용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인허가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전국 지자체의 식품, 문화, 의료, 물류, 등 196종의 인허가 데이터를 사이트에서 간편하게 소팅, 필터링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빅데이터 및 기업 연구에 활용할 수 있고,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, 소상공인 창업정보, 상권분석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.
자료제공 방식
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는 다운로드 방식과 OPEN API를 통한 두가지 방식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. OPEN API를 활용하지 않고도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.

전체 자료는 최초 인허가일로부터 당일 기준 전월까지 마감한 자료로 데이터의 최신성에 대한 신뢰도는 문제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 다운로드는 모든 업종 자료를 다운로드 할 수 있고, 사용 수요자의 니즈에 맞게 업종별, 지역별로도 자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.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가 있는데, 해당 정보의 역사적 추이, 지역별 분포 등을 파악할 수 있겠습니다.
그래요, 좋은 건 알겠는데 그러면 창업, 사업기획 시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?
활용방안
창업정보 활용
특정 업종의 창업을 고려할 때 어느 지역이 유리한 지 혹은 업종의 역사성, 성장추이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커피숍을 창업하고 싶은 사람의 경우 특정 지역의 커피숍 영업현황을 알 수가 있습니다.
특정 지역(예: 시)에 커피숍이 가장 많은 곳 XX구 XXX개, 커피숍이 가장 적은 곳 XX구 XX개 등을 바로 알아볼 수가 있고, 이를 통해 어느 지역이 유리한지 업종별로 역사성, 발전 추이를 살펴보는 기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서비스 사이트에서 엑셀로 현황을 다운로드 받아볼 수 있습니다.
사업기획서 작성 시 활용
정부지원사업의 사업기획서를 준비하시는 분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비창업패키지이던 초기창업패키지이던 제품 및 서비스 기획 ‘배경 및 필요성’에 반드시 통계를 활용해서 기획서의 신뢰성을 높여야 되는데, 이 통계를 찾아 적용시키기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고, 똑같은 주제라도 어디 여기저기 자료를 받아서 비교해보면 자료별로 그 오차범위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경험할 수 있게됩니다.
만일 상권 및 업종 분석 부분의 국내 통계가 필요한 경우라면 이 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는데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맺음말
위와 같이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 개방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창업을 생각하고 사업기획을 하고 있는 분에게 어쩌면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겠습니다. 본 서비스에서 얻은 데이터를 토대로 약간의 가공으로 신뢰성있는 통계자료를 만들 수 있으니 본 서비스도 한번 이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 이상 글을 마치겠습니다.